OSI 7계층
- 물리계층(최하위)(physical layer): 전송매체에 대한 전기적, 기계적인 인터페이스를 다룬다.(하드웨어로 구현)
-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이 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프레임 이라고 한다.
- 이 계층의 기능은 데이터의 오류문제를 해결하고 프레임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프레임에 번호를 부여해서 데 이터를 순차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것이다.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데이터가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노드를 통과하여 목적지까지 잘 도착하도록 경로를 찾아준다.는 양쪽 컴퓨터의 주소를 포함한다.
- 이러한 역활을 라우팅이라고한다. 이 계층의 데이터 전송단위는 패킷이라고 부르는데 패킷에는 데이터를 주고 받
-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네트워크 계층이 호스트에서 호스트로의 데이터 전송에 기여한다면 트랜스포트 계층은 호스트내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에서 프로세스로의 데이터전송(end-to-end)을 의미한다.
- 따라서 이 계층에서는 각 프로세스의 주소값인 포트번호를 사용한다. 트랜스 포트 계층의 데이터 단위인 PDU(데이터 선송단위: Protocol data unit)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프로세스의 포트번호를 포함한다.
- 세션 계층(Session layer): 양 끝단에 있는 응용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또한 이 계층에서 체크 포인트 기능을 제공하여 오류가 발생했을 때, 체크 포인트 이후의 모든 데이터를 재전송하여 데이터를 복구(recovery)하도록 한다.
- 이 세션 계층의 대화(Dialogue) 형태에는 단방향(simplex), 반이중(Half Duplex), 전이중(Full duplex) 형태가 있다.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의 표현방법(Syntax)와 의미(Semantic)을 다루는 계층이다.또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한 암호화(Encryption)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압축(Compression) 기능 역시 제공된다.
- 데이터를 약속된 방법으로 인코딩(Encoding)하고 디코딩(Decoding)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 응용계층(최상위)(Application layer): 사용자에게 필요한 응용서비를 제공한다.
- 예를 들어, 파일 전송 프로토콜인 FTAM, 메일 전송 프로토콜인 SMTP가 여기에 해당된다.
'IT 끄적이기 > IT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jango 와 ORM (0) | 2024.07.11 |
---|---|
쿠키와 세션 (0) | 2024.07.11 |
HTTP ? 이건 뭐고 HTTPS와 차이는 뭐야? (0) | 2024.07.11 |
#번외, ‘PCWorld 선정’ 2023/2024 최고의 PC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24선 (1) | 2024.01.08 |
DB 와 웹 브라우저 상의 9시간 차이나는 현상 (0) | 2022.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