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끄적이기/업무(SeAH - MES)

#5 특수강

김팡 2020. 5. 13. 00:22

특수강이란?


: 탄소량이 많은 특수 용도의 고탄소강과 탄소 이외에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강의 특성을 개량한 합금강을 합친 것이다. 보통강에 대응한 말이다. 현재 쓰이는 특수강은 탄소 이외에 첨가한 합금원소의 이름을 앞에 붙여서 니켈강·크로뮴강 등이라고 하지만, 용도에 따라 나누면 구조용·내식내열용·공구용과 기타의 특수 용도용이 된다.

내열합금이나 영구자석 합금처럼 탄소를 불순물 취급하는 것은 본래는 강이 아니지만, 이들도 철이 바탕일 때에는 특수강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 현재 쓰이는 특수강은 탄소 이외에 첨가한 합금원소의 이름을 앞에 붙여서 니켈강·크로뮴강 등이라고 하지만 용도에 따라 크게 나누면 구조용·내식내열용·공구용과 기타의 특수 용도용이 된다.


특수강의 생산공정 :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강공정 > 압연공정 > 정정공정

**제강공정 : 전기/화학에너지를 통해 철스크랩과 합금철을 용해하여 반제품인 Bloom을 만드는 공정

특히, 용강환류탈가스방식의 RH와 대단면 Bloom생산이 가능한 연주기로 고청정 특수강을 생산함

[1 철스크랩 > 2 전기로 > 3 정련로(LF) > 4 탈가스(RH) > 5 Bloom 연주기 ]

 

**압연공정 : 압연기를 통해 반제품인 Bloom을 고객이 원하는 규격의 제품으로 만드는 공정

특히, 최신VH Mill을 통해 최대 Φ350까지의  대규격 압연재 생산이 가능

[1 Walking Beam Furnace(가열로) > 2 Cogging Mill(분괴압연기/열간압연기) > 3 Hot Scarfing(용삭기) >
4 Large-Bar Mill > 5 Vertical-Horizontal Mill #1> 6 Vertical-Horizontal Mill #2 > 7Cooling Bed (냉각대)]

 

**정정공정 : 압연에서 생산된 제품을 초음파 및 자분탐상을 통해 검사하고 교정하는 공정

[1 Straightener(교정기)&Deburring(면취기) > 2UT(초음파 탐상기) > 3MT(자분 탐상기) > 4Grinding M/C(기계 사상기) > 5VI(육안 검사) > 6Bundling(결속기)

 

출처 : 세아베스틸 홈페이지